이 질병의 분자적 기반에 대한 이해가 최근 몇 년 동안 극적으로 발전했지만 치료 옵션은 여전히 제한적이며 현재 근본적인 결함을 교정하기보다는 주로 지지 요법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1. 약물 치료
현재 사용되는 약물의 복합 사용은 크게 다음 네 가지 측면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활성산소 제거 코엔자임 Q10, 벤조퀴논 보조제, 비타민 C, 비타민 E 등;
(2) 독성 생성물인 디클로로아세트산, 디메틸글리신 등을 줄입니다.
(3) 다음을 통해 전자를 전달합니다. 우회 경로 코엔자임 Q10, 이데베논, 숙신산염, 비타민 K 등;
(4) 대사 보효소 크레아틴, 카르니틴, 니코틴아미드,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을 보충합니다. 코엔자임 Q10과 비타민 C는 비타민 E의 활성을 유지하고, 코엔자임 Q10은 에너지 대사를 촉진할 수 있으며, 디클로로아세트산과 비타민 B1은 다양한 측면에서 피루베이트 탈수소효소 복합체에 작용하며, 둘 다 사용하면 산화 대사를 촉진하고 젖산 생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코엔자임 Q10과 숙신산은 전자 운반체로 전자를 복합 효소 II 및 III에 직접 전달할 수 있으므로 복합 효소 I 결핍 환자에게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호흡 사슬의 모든 연결에 작용하여 다양한 복합 효소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산소 자유 라디칼 손상입니다. 따라서 수년 전부터 ME를 치료하기 위해 복합 약물이 사용되어 왔습니다. 또한 ME는 산화적 인산화 호흡 사슬의 완전성이 파괴되어 발생하는 질병이므로 에너지 대사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약물을 투여하면 환자의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토콘드리아 산화적 인산화 사슬에서 특정 인자의 결핍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에너지 대사를 향상시키는 다양한 조효소, 비타민 및 기타 약물로 구성된 "칵테일" 요법이 주요 치료 방법이 되었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ME.
2. L-아르기닌
아산화질소(NO) 전구체로서 혈관 확장을 유도하여 MELAS 증후군 환자의 뇌졸중과 유사한 증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Kubota의 연구에서는 L-아르기닌 치료가 급성기 MELAS 뇌졸중 유사 증상을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기 공명 분광학 분석에 따르면 두정엽 피질의 젖산염 피크가 감소하고 N-아세틸 아스파르트산염(NAA) 피크가 정상이었습니다. 이는 모두 L-아르기닌이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상태와 세포 활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L-아르기닌이 글루타메이트의 흡수와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방출에 영향을 미쳐 신경 흥분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L-아르기닌의 안전성과 정확한 효과는 아직 장기적인 무작위 대조 시험을 통해 확인되어야 하지만 임상 연구에 희망을 가져다줍니다. [2]
3. 운동 요법
ME의 유망한 치료 옵션인 운동 훈련에는 저항력 및 지구력 훈련이 포함됩니다.
(1) 저항 훈련의 이론적 기초는 유전자 표류 이론입니다. mtDNA에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세포 내에서 야생형과 돌연변이 mtDNA가 공존하게 되는데, 즉 이질성(heterogeneity)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mtDNA 돌연변이의 비율은 병변이 발생하기 위한 임계값을 초과해야 합니다. 근육 특정 mtDNA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에 대한 두 가지 연구에서 이 이론이 확인되었습니다. 이 환자의 경우 저항 훈련은 골격근 위성 세포에서 돌연변이 mtDNA를 감지할 수 없습니다. 골격근 섬유는 정지 위성 세포로 야생형 mtDNA/돌연변이 mtDNA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골격근 섬유의 일부 생화학적 결함을 교정합니다.
(2) 지구력 훈련 규칙적인 유산소 지구력 운동은 조직 모세혈관의 밀도를 증가시키고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며 미토콘드리아 호흡 사슬의 효소 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근병증이 주요 증상인 ME 환자의 경우 유산소 지구력 운동이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4. 다이어트 요법
다양한 결함이 있는 ME 환자에게 다양한 다이어트 요법을 적용합니다.
(1) 피루베이트 탈수소효소 결핍증 환자에게는 케톤 생성 식단을 제공합니다( 탄수화물 감소 및 지방 함량 증가), 이는 환자의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및 야생형 mtDNA로의 이질적 전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2) 카르니틴 결핍 환자는 지방 섭취를 제한해야 합니다
( 3) 피루브산 카르복실라제 결핍 환자의 경우 고단백, 고탄수화물, 저지방 식이요법을 권장한다. 위의 모든 방법은 환자의 임상 증상을 다양한 정도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5. 유전자 치료
유전자 치료 전략에는 돌연변이 mtDNA/야생형 mtDNA 비율 감소, 잘못된 발현 및 이종 발현 사용, 다른 상동 유전자 입력 및 제한사항 활용이 포함됩니다. 엔도뉴클레아제는 돌연변이 mtDNA 등을 복구합니다. 예를 들어, 인간 세포질(정상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고 핵이 없는 세포)을 사용하여 결함이 있는 세포(결함이 있는 mtRNA를 포함하고 호흡 사슬 기능이 감소된 세포)에 대한 유전자 구조 치료를 수행하면 결함이 있는 세포의 호흡 사슬 기능을 정상으로 성공적으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핵산 펩타이드는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결함에도 특정 치료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정 핵산 펩타이드는 결함이 있는 세포로 유입되어 핵산 펩타이드가 돌연변이 mtDNA의 복제를 특이적으로 억제하여 정상적인 mtDNA가 복제될 수 있도록 합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질병의 원인이 되는 새로운 유전적 돌연변이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잠재적인 치료 전략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6. 이식
근모세포 이식은 최근 등장한 치료법이다. 세포 생물학 연구에 따르면 근아세포는 서로 융합하여 근세관을 형성하고 성숙한 근육 섬유로 발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자의 근육세포와 정상 근육세포를 시험관 내에서 융합한 뒤, 일반적으로 다점 근육주사를 통해 환자의 몸에 주입하면 환자의 몸에 더 많은 야생 mtDNA가 있을 수 있다. 아마도 향후 임상치료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7. 유전치료
핵 이식은 돌연변이된 mtDNA를 갖고 있는 난모세포의 핵 DNA를 정상 mtDNA가 들어 있는 핵이 제거된 난모세포에 이식한 후 체외수정 후 자궁에 이식하는 것입니다. 윤리적 및 안전 문제로 인해 이 방법은 추가 연구를 통해 확인되어야 합니다.
8. 퍼옥시좀 증식인자 활성화 수용체 γ(PPAR)/퍼옥시좀 증식인자 활성화 수용체 γ*** 활성화 인자 1α(PGC-1α)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하여 PPAR/PGC-1α 신호 전달 경로를 조절합니다. 잠재적인 치료 옵션. PPAR은 대사 경로에서 유전자 발현 프로그램을 조절하는 핵 수용체 수퍼패밀리의 구성원입니다. PGC-1α를 통해 미토콘드리아 생물 발생을 조절합니다. PPAR-γ의 활성화는 세포가 미토콘드리아 잠재력을 유지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PPAR/PGC-1α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경로. 미토콘드리아 생물 발생을 증가시켜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피브레이트는 심장 및 골격근에서 PGC-1α의 발현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9. 독성 대사물질 제거
미토콘드리아 신경위장뇌병증(MNGIE)은 효소 활성을 유발하는 티미딘포스포릴라제(TP)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기본적으로 사라지며, 촉매된 기질인 데옥시티미딘과 데옥시우리딘이 크게 증가하여 미토콘드리아 뉴클레오시드 라이브러리의 균형이 맞지 않게 됩니다. 고농도의 데옥시티미딘과 데옥시우리딘은 MNGIE 환자에게 mtDNA 복제 장애를 유발하여 손실 및 다중 단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1. 신경과[M]. 베이징: 인민의학 출판사, 2008: 378-379.
2.PulkesT, EunsonL, PattersonV 등 ND5의 테미토콘드리아 DNAG13513A 전이는 LHON/MELAS 중첩 증후군과 연관되어 있으며 MELAS의 빈번한 원인일 수 있습니다: Ann Neurol, 1999: 46: 916-919.